

인구의 증가, 인구의 고령화 및 허약화
도시 집중화 및 슬림화
식품의 대량생산 및 다품종화 (오염식품의 잠재화)
식습관의 변화와 다양화
해외여행의 증가 (병원 미생물의 이동)
식품 및 가축사료의 국제 교역량 증가
빈곤과 불평등의 심화 및 환경오염
동물성 의약품의 잔류허용기준 초과 농가에 대한 규제 강화
사료 내 유해물질 허용기준 설정품목을 선진국 수준으로 확대
사육 단계의 HACCP 지침 제정 및 시행
식육 중 잔류물질 및 미생물 검사 강화
도축장 HACCP제도 정착과 사후 관리 강화
HACCP 적용 축산물의 차별화 추진
HACCP 불법 명칭 사용 규제
도축검사 강화 및 포장 유통 의무화 추진
HACCP 시행, 인증서 발급 및 우대 조치
축산물 위생 감시 체제 정비 및 처벌 강화
재래시장 등에 대한 점검 강화 및 결과 공개
고의 중과실에 의한 위반 시 영업장 폐쇄 명령
유해식품 제조자에 벌금형 부과
형량 하한제 도입으로 중벌 선고 (밀도살 판매, 무허가 영업)
상습범에 대한 가중 처분 행위기간 연장
축산물 위생 감시원 임명 대상 확대
유통 중인 축산물에 대한 미생물 검사 실시
식육 판매업 영업자 자격 요건 강화
식용란 살모넬라균 검사 실시
수입 축산물 위생관리 강화 및 제도 개선
축산물 수입 판매업자의 판매기록 유지에 대한 규정 개선
축산물 수입 판매업소의 유통 상황 전산화 추진
소비자 단체와 협력사업 및 위생과 안전관리 홍보 추진
음식점 식육 원산지표시제 도입
축산물 특성 및 위생관리 교육 실시| 대분류 | 1일 생산능력 | 규모 | 인원 |
| 소분류 | ① 도축 ② 생산량 ③ 훈연가공 |
① 건평 ② 연면적 |
① 오리사육농가 ② 도축/포장인원 ③ 가공인원 ④ 사육/유통인원 |

| 지역 | 영광 | 강진 | 고흥 | 나주 |
| 농가수 | 1 | 1 | 3 | 6 |
| 무안 | 보성 | 영암 | 장흥 | 함평 |
| 1 | 2 | 4 | 6 | 1 |

